포토샵 원리
포토샵은 Adobe 사에서 개발한 레스터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입니다.
주로 이미지 색상 보정, 오래된 사진 복원, 이미지 합성, 문자 디자인, 인쇄물 디자인, 웹 디자인 등에서 사용됩니다.
컴퓨터로 작업할 때 프로그램들의 이미지 표현방식은 비트맵과 벡터 두 가지로 나뉩니다.
비트맵_대표적인 프로그램 : 포토샵
특징 : 픽셀(작은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미지 포맷입니다. 포토샵은 이 작은 픽셀을 하나하나 편집할 수 있어 이미지의 수정 및 합성에 적합하지만 이미지를 확대할 경우, 이미지에 계단현상(이미지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픽셀은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그 단위는 PPI(Pixel Per Inch)로 가로세로 1인치 안에 몇 개의 픽셀이 들어 있는가를 나타냅니다. 픽셀의 수가 높을수록 고해상도이기 때문에 매끄럽고 선명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해상도가 높을수록 용량은 늘어납니다.
백터_대표적 프로그램 : 일러스트레이터
특징 : 점과 점을 연결한 수학적인 함수관계로 점, 선, 면, 도형 등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확대 시 비트맵과 다르게 이미지에 계단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고로 크기 조절이 자유롭고 이미지가 매끄럽기 때문에 명함, 서체, 캐릭터, 로고 등을 작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포토샵 CC 버전부터는 벡터 방식의 기능이 지원되고 일러스트레이터와 호환되기 때문에 교차 작업할 수 있습니다.
- 포토샵은 RGB 컬러 모드를 사용합니다. RGB는 빛의 3원색으로 디지털, 웹 작업 시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색의 수치는 bit로 나타내고 범위는 0 ~ 255입니다. 예를 들어, Red가 0이라면 빨간색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Red가 255라면 빨간색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론을 간략히 배웠으니 포토샵을 설치했다는 가정 하에 처음부터 진행해 보겠습니다.
- 바탕화면의 "Creative Cloud Desktop"으로 들어갑니다.
- 화면이 뜨면 포토샵이 "설치됨"항목에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열기"버튼을 누르시면 포토샵이 실행됩니다.
- 우선 Fille - New 클릭합니다.
- 이 화면에서 맨 윗줄을 보면 adobe 사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형태에 맞게 분류해 뒀습니다. Web 작업을 원하신다면 Web을, Print를 원하신다면 Print를, 아니면 개인이 원하는 것이 따로 있다면 아무거나 선택하고 오른쪽의 Preset details에서 수정하시면 됩니다.
- Preset Details 아래 untitled-1은 임시 파일명으로 원하시는 이름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 Width는 작업 문서의 가로 길이입니다. 만약 정해진 preset을 선택하셨다면 수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A4를 선택하셨다면 210으로 자동 설정되어 있으니 변경하실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옆에 단위에서는 pixels은 웹 방식의 단위, 밀리미터/센티미터/인치는 길이 단위입니다. points와 picas는 문자 또는 문자 디자인을 위해 사용됩니다.
- orientation은 그림과 같이 가로와 세로의 방향입니다. 예를 들어, A4를 선택하셨다면 가로와 세로를 따로 입력해서 바꾸는 것이 아니라, orientation을 통해 가로와 세로 값을 서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 resolution은 해상도입니다. 주로 300은 인쇄용 작업 시에 사용되고, 72는 웹용 작업 시에 사용됩니다.
- color mode는 bitmap, grayscale, RGB color, CMYK color, Lab color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bitmap은 흑백으로 표현되는 작업물, grayscale은 흰색과 검은색의 색과 무채색의 작업물, RGB color는 웹 작업물, CMYK color는 인쇄 작업물, Lab color는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정의한 방식의 작업물입니다. Lab color의 경우 RGB와 CMYK범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색상범위를 가집니다.
* 작업을 하면서 color mode를 변경하기 원한다면 메뉴바의 Image - Mode에서 변경 가능합니다. RGB에서 grayscale로 변경하면 유채색의 정보가 사라지고 회색의 정보로 변경됩니다. 그리고 다시 RGB로 변경은 되지 않으니 미리 저장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bitmap의 경우, 우선 RGB 작업물을 grayscale로 변경하여 유채색을 제거한 후에 bitmap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유는 검색과 흰색으로만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 color mode 옆의 8bit의 목록에는 8/16/32 bit로 구성되는데 높아질수록 색상의 표현이 다양해집니다. 그만큼 용량도 커지게 됩니다. 보통 8을 사용합니다. 16 이상은 인간의 시각으로는 느끼기 힘들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background contents는 보통 흰색이 익숙하니 흰색으로 하시면 됩니다.
- Advanced Options의 Color profile과 Pixel Aspect Ratio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건드릴 일이 없습니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Create를 누르시면 흰색 화면의 종이 용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이제 작업 시작하실 준비가 되셨습니다.
기본적인 원리와 맨 처음 작업 목적에 맞는 설정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다음 단계인 인터페이스를 알아보겠습니다.
'[포토샵cc] 기초 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cc] 기초 마스터 - 누끼따는 방법 4가지 - (0) | 2022.11.24 |
---|---|
[포토샵cc] 기초 마스터 - 선택툴 - (0) | 2022.11.23 |
포토샵 기초(레이어 이동/크기/복사/불투명도/그룹/정렬/스마트오브젝트/배경넣기/레이어찾기) (0) | 2022.11.22 |
포토샵 기초 조작방법(문서크기변경/파일저장형식/아트보드추가/이미지자르기/캔버스크기변경/확대/축소/회전) (0) | 2022.11.21 |
포토샵 기초(기본설정/인터페이스) (0) | 2022.11.20 |
댓글